집진기 포착속도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댓글 0건 조회 2,095회 작성일 20-04-08 18:05본문
제어속도(포착속도)란 배출원에서 배출되는 오염물질을 비산한계점 범위내 어떤점에서 포착하여 후드 속으로 끌어들이기에 충분한 최소한의 바람의 흐름(유속)을 말하며, 어떠한 점을 포착점이라고 합니다. 포위형 또는 부스형에서는 오염물질이 후드의 내부에 있기에 포착점을 후드의 개구면에 놓아야 하므로 이때는 포착속도가 개구면속도가 됩니다. 아래의 표는 유해물질의 발생상태에 따른 제어속도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 유해물질의 발생상태에 따른 제어속도의 범위
유해물질의 발생상태 | 공 정 예 | 포착 또는 제어속도 |
움직이지 않는 공기중에 실제상거의 속도가 없는 상태로 유해물질이 발생하는 경우 | 용기의 액면으로부터 발생하는 가스, 증기, 흄 등
| 0.25~0.5m/sec
|
비교적 조용한 대기중에 낮은 속도로 유해물질이 비산하는 경우
| booth식 hood에 있어서의 분무도장작업, 간헐적인 용기 충진작업, 낮은 속도의 콘베이어작업, 도금작업, 용접작업, 산세척작업 | 0.5~1.0m/sec
|
빠른 공기 이동이 있는 작업장소에 활발히 유해물질이 비산하는 경우
| booth식 hood에 있어서의 분무도장작업, 함침(dipping) 도장작업, 콘베이어의 낙하구 분쇄작업, 파쇄기 | 1.0~2.5m/sec
|
대단히 빠른 공기 이동이 있는 작업장소에 아주 빠른 속도로 유해물질이 비산하는 경우 | 연삭작업, 분무작업, 텀블링작업, 블라스트작업
| 2.5~10.0m/sec
|
주변 공기가 거의 유동이 없거나 오염물질 자체가 운동량이 매우 작을 때는 아주 약한 포착속도만으로도 오염물질을 후드쪽으로 흡인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후드 주위의 공기의 유동이 빠르고, 오염물질 자체의 운동량이 높을 경우 포착속도는 높게 설정해야합니다. 그리고 각 사업장, 각 공정마다 후드의 효율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방해기류(Cross-draft)의 강도와 오염물질의 운동량이 서로 다르고 또한 오염물질의 독성에도 차이가 많습니다.
아래의 표는 발생원과 후드의 형태에 따른 포착속도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 발생원과 후드형태에 따른 포착속도
No. | 발 생 원 | 후드형태 | 포착속도(m/s) | 포착면 |
1 | sand blast roon sand blast table | 포위박스형 부스형 | 0.3~0.5 1.0 | 개구면 개구면 |
2 | 포장작업(종이포장대) 포장작업(마대포장대) | 부스형 부스형 | 0.5 1.0 | 개구면 개구면 |
3 | 저장투입 | 포위카바형 | 0.8~1.0 | 개구면 |
4 | 병세척 | 부스형(건물) | 0.8~1.3 | 개구면 |
5 | 콘베이어이송 | 포위카바형 | 0.8~1.0 | 개구면 |
6 | 단조(수동) | 부스형(건물) | 1.0 | 개구면 |
7 | 주물사스크린(회전) 주물사스크린(진동) | 포위카바형 포위카바형 | 1.0 2.0 | 개구면 개구면 |
8 | shake out shake out(냉각된 주물) shake out(뜨거운 주물) | 부스형(chamber) 포집그리트형 포집그리트형 | 1.0 1.3 3.0 | 개구면 격자면 격자면 |
9 | Al용해로 동용해로 도가니로 전기로 | 레시바캐노피형 레시바캐노피형 레시바캐노피형 레시바캐노피형 | 0.8 1.0~1.3 1.0 2.0 | 개구면 개구면 개구면 개구면 |
10 | 용탕주입 | 포집스롯트루바형 | 2.0 | 개구면 |
11 | 바켙엘리베이터 | 포집박스형 | 2.5 | 개구면 |
12 | 디스크연마기 평면연마기 | 포집그리트 포집스롯트형 | 1.0~2.0 7.5 | 격자면 발생원 |
13 | 주방가스렌지 | 레시바캐노피형 | 0.5~0.8 | 개구면 |
14 | 분무도장 | 부스형(건물) | 0.5~1.0 | 개구면 |
15 | 고무카렌다 | 포집장방형 | 0.5 | 개구면 |
16 | 탈지탱크 침적탱크 산세척탱크 도금탱크 탕세탱크 | 포집스롯트형 부스형(chamber) 포집스롯트형 포집스롯트형 < |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